편집 요청

[닫힌 편집 요청 보기]

토론

[닫힌 토론 목록 보기]

1. 유튜브 이외 플랫폼에 영상을 올리는 레벨 제작자들의 등재 기준 추가 제안

#1
일부 레벨 제작자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유튜브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국에서 시행되는 정책에 의한 중국 내에서의 유튜브 접속 차단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물론, 중국에 거주하는 상당수의 레벨 제작자들은 VPN을 통한 우회를 통하여 유튜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지 못한 레벨 제작자들도 유의미하게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bilibili 등의 비교적 대중적인 플랫폼에 업로드한 영상에 대해서도 등재 기준을 별도로 마련할 것을 제안합니다.

2. 등재 기준 변경에 관하여

#1
현재 코스모피디아의 문서 등재 기준에 추가 및 수정할 내용이 필요한 것 같아 토론 생성합니다.
  • 레벨 제작 프로젝트에 적용될 수 있는 등재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보입니다.
    최근 얼불춤에는 레벨들을 여러개로 묶어 한 번에 출시하는 레벨 팩 형식이 아닌, 특정 컨셉에 맞게 레벨을 하나씩 제작 및 배포하고 프로젝트 소속임을 밝히는 형식의 레벨 제작 프로젝트가 많이 보입니다[1].
    이에 따라 아래의 방안을 참고하여 프로젝트 문서를 등재할 수 있도록 등재 기준을 수정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 '프로젝트' 분류를 새로 생성하여 이에 맞는 등재 기준을 추가한다.
  • '레벨 팩' 분류에 프로젝트를 편입하여 등재 기준을 수정한다[2]
  • '레벨 제작팀' 분류에 프로젝트를 편입한다[3].
  • 레벨 영상이 아예 없는 커스텀 레벨의 등재 기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업로더가 지우는 경우가 아닌, 처음부터 레벨 쇼케이스 영상이 없던 레벨 제작 대회 출품작 등의 레벨들의 등재 기준이 '유튜브에 업로드 된 가장 조회수가 많은 레벨 플레이 영상의 조회수가 1천회 이상인 경우' 말고는 존재하지 않아 많은 양질의 레벨들[4]이 등재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레벨 팩은 아니지만 여러 개의 레벨을 한 번에 올리는 경우[5]에도 기준을 정해놓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한 방안을 제출합니다.
  • '커스텀 레벨' 등재 기준에 논이펙, 논타일, 파트 영상을 추가한다[6].
  • '커스텀 레벨' 등재 기준에 한 쇼케이스 영상에 여러 레벨이 포함된 경우의 기준을 명시한다.
  • '단일 레벨 문서' 등재 기준에 'Level Of The Year의 한 분야에서 상을 수상한 경우'를 추가한다[7].

이상입니다.
[1] Project : Simplify, Project : Complicated, Project Frums S[2] 프로젝트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레벨 팩이지만 레벨 팩 영상을 따로 올리지 않고 각 레벨의 영상을 따로 올리는 경우도 꽤 있으므로, 레벨 팩 등재 기준에 각 레벨의 별도 쇼케이스 영상의 조회수 총합을 추가하여 등재 가능한 레벨 팩의 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할 듯 합니다.[3] 현재 Project : Simplify 문서를 생성한 방법입니다. 다만 레벨 제작팀과의 거리감이 있는 프로젝트에 이 분류를 적용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4] 예시로는 ADOFAI.gg OVEREXCITED(BWen 외 2인) 레벨이 있으며, 驟雨の狭間(SomSom 외 3인)의 경우에도 논타일 영상만이 존재합니다.[5] 예시[6] 다만, 이는 완전한 레벨 쇼케이스 영상이 아니므로 기준을 더욱 엄격히 적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7] 이건 문제 상황과 관계 없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추가했습니다.
#2
#1 4번 각주 쓰다 만 부분 수정
ADOFAI.gg OVEREXCITED(BWen 외 2인) 레벨이 있으며
-> ADOFAI.gg에서 LEGENDARY 등급을 부여받은 OVEREXCITED(BWen 외 2인) 레벨이 있으며

새 주제 생성

비로그인 상태로 토론에 참여합니다. 토론 내역에 IP(216.73.216.123)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